1. 본 글은 아래의 공식 페이지를 이용해 작성하는 글입니다!

2. 저의 나름대로의 요약이니, 틀린 부분 지적 부탁드립니다!

3. 총 2개의 섹션으로 분리해서 나눠서 작성할 예정입니다.

THE GENERAL "WORKFLOW" - HOW IT ALL WORKS

  • 욕토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개발자들은 architecture, policies, patches and configuration details 등을 명시해줘야 합니다.
  • 빌드 시스템은 그러면 소스코드를 fetch하고 다운로드 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우선 tarball 또는 code repository 같은 git과 같은 방식을 지원합니다.
  • 다운로드가 되면, 소스코드는 로컬 영역에 extract 됩니다. 그리고 소프트웨어를 configuring과 compiling하기 step이 진행됩니다.
  • 소프트웨어는 그럼 인스톨되어질것인데, 개발자들이 선택한 바이너리 패키지 포맷이 사용되어지는 경로입니다.
  • 다양한 QA와 sanity check가 실행되어 집니다.

DEVELOPMENT ENVIRONMENT - HOST SETUP

  1. 위 빌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host는 보통 리눅스를 이용하는것같네요.

REFERENCE EMBEDDED DISTRIBUTION (POKY)

  • poky는 위에도 언급했듯이 레퍼런스 배포판입니다! poky는 빌드시스템(bitbake and OpenEmbedded Core) 뿐만 아니라 다양한 metadata를 가지고 있습니다.

총 2부로 간략하게 마무리 하겠습니다.

사실 쓰다보니 2부정도로 마무리가 될 수 있겠다 판단이 들었습니다 ㅎㅎ;

'LINUX > yocto' 카테고리의 다른 글

yocto project 컨셉 이해(1)  (0) 2022.11.02
local.conf 주요 환경 변수  (0) 2022.02.22
욕토 프로젝트 시작하기  (0) 2022.02.22
욕토 프로젝트 용어  (0) 2021.07.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