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tatus

1-1. git status : git 설정한 폴더의 변경사항 출력

2. add

2-1. git add "파일명" : commit 대기상태에 진입시킴 -> stage area (commit이라 는 stage에 진입)

3. commit

3-1. git commit -am "text" : text 로그 남기면서 commit 함

4. remote

4-1. git remote add origin "url" : url을 origin이라는 원격저장소로 사용

4-2. git remote remove "origin" : origini이라는 원격저장소 삭제 -> 원격저장소를 잘못 지정했을시 이용

5. branch

5-1. git branch "이름" : "이름"으로 브랜치 생성

5-2. git branch : 브랜치 목록 출력

5-3. git branch --set-upstream-to origin/"브랜치 이름" : branch local remote 연동

5-4. git branch --delete "이름" : 브런치 삭제(단, 다른 브랜치로 이동해서 사용)

5-5. git branch -d "이름" : 8-5와 같음(단, push 다시 해주어야함)

6. remote

6-1. git remote -v : 원격저장소 목록 출력 ex) 5번과 같이 했을시 origin 출력

7. checkout

7-1. git checkout "이름" : "이름" 브랜치로 이동

8. push

8-1. git push -u origin master : origin 이라는 원격저장소의 master 브랜치에 저장

8-2. git push origin "이름" : "이름"으로 원격저장소에 브랜치 생성

8-3. git push origin "이름" : origin에 해당하는 repo에 "이름" 브랜치 올림(없으면 생성)

8-4. git push origin :"이름" : origin에 해당하는 repo에 "이름" 브랜치를 지움.

8-5. git push origin --delete "이름" : "이름"이라는 origin의 원격저장소의 브랜치를 삭제

9. reset

9-1. git reset HEAD "파일명" : add한 파일명을 취소

9-2. git reset HEAD^ : 최종 커밋 취소. 그러나 변경된 파일은 남아있다.

9-3. git reset HEAD~n : 마지막 n개의 커밋을 취소한다. 그러나 변경된 파일은 남아있다.

9-4. git reset --hard HEAD~n : 마지막 n개의 커밋취소. 파일 또한 복구

9-5 git reset --soft "파일명" : 파일 내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staging area에 올림(add 상태)

9-6 git reset : add한 모든 파일을 add 취소함

10. rm

10-1. git rm -r --cached "파일명" : 원격저장소에 올라간 "파일명" 삭제

--> 명령 실행 후 커밋하고 다시 푸시하면 사라진걸 확인가능

10-2. git rm "파일명" : 원격저장소와 로컬 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삭제한다.

11. clean

11-1. git clean -f : 현재 디렉토리에서 git이 추적하지않는 파일을 삭제함

11-2. git clena -fd : 11-1과 동일하지만 디렉터리까지 삭제

12. config

12-1. git config --global user.name "name" : 이름설정

12-2. git config --global user.email example@naver.com : 이메일 설정

13. fetch

13-1. git fetch --all : git remote에서 전체 내용을 받아온다.

// 만일 git pull 했는데 fatal : 관계 없는 커밋 내용의 병합을 거부합니다

이 문구가 뜬다면 실행해보자. 추가적으로 아래를 실행

git reset --hard origin/master : 수정된 내역을 지우고 이전내용으로 복구한다.

git pull origin master : 현재 작업하고있는 로컬에 커밋을 병합한다.

14. pull

14-1. git pull origin "branch" --allow-unrelated-histories

: pull이 실패시 강제로 관련없는 커밋을 병합하고 pull한다.

 git을 이용해 작업을 하다보며 현재 브랜치를 종종 깜빡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때마다 git branch 명령어를 입력하기는 좀 귀찮죠. 이것은 쉘에 branch를 출력하면 아주 편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1. vi ~/.bashrc

2. 가장 아래에 아래 입력합니다.

# Show git branch name
force_color_prompt=yes
color_prompt=yes
parse_git_branch() {
 git branch 2> /dev/null | sed -e '/^[^*]/d' -e 's/* \(.*\)/(\1)/'
}
if [ "$color_prompt" = yes ]; then
 PS1='${debian_chroot:+($debian_chroot)}\[\033[01;32m\]\u@\h\[\033[00m\]:\[\033[01;34m\]\w\[\033[01;31m\]$(parse_git_branch)\[\033[00m\]\$ '
else
 PS1='${debian_chroot:+($debian_chroot)}\u@\h:\w$(parse_git_branch)\$ '
fi
unset color_prompt force_color_prompt

3. source ~/.bashrc

 

그럼 아래와 같은 사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 https://blog.seoft.co.kr/24

 

ubuntu 터미널 현 디렉토리 우측에 git branch 출력

[문제정의] 다음과같이 ubuntu 터미널 현 디렉토리 우측에 git current branch 출력하기 위함 [해결방안] 0. 작업 환경 ubuntu16.04기준 (18.04도 확인완료) mobaXterm client로 테스트 1. ~/.bashrc 파일의 가장..

blog.seoft.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