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으로 IPv4와 IPv6하면 그에 따른 주소 체계를 생각하곤 합니다. 하지만 특정 대역대가 예약이 돼있다는것을 최근에 알게 됐습니다.
먼저 IPv4를 생각해보겠습니다.
특수 용도 주소
주소 대역용도
0.0.0.0/8 | 자체 네트워크 |
10.0.0.0/8 | 사설 네트워크 |
127.0.0.0/8 | 루프백(loopback) 즉, 자기자신 |
169.254.0.0/16 | 링크 로컬(link local) |
172.16.0.0/12 | 사설 네트워크 |
192.0.2.0/24 | 예제 등 문서에서 사용 |
192.88.99.0/24 | 6to4 릴레이 애니캐스트 |
192.168.0.0/16 | 사설 네트워크 |
198.18.0.0/15 | 네트워크 장비 벤치마킹 테스트 |
224.0.0.0/4 | 멀티캐스트 |
240.0.0.0/4 | 미래 사용 용도로 예약 |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IPv4
IPv4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Pv4는 인터넷 프로토콜의 4번째 판이며,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 첫 번째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과거에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프로토콜이였으나 오늘날에는 IPv6이 대중화되었다. IETF RFC 791(1
ko.wikipedia.org
그 다음은 IPv6입니다.
특수 주소 공간[편집]
- ::/128 - 이 주소는 모든 값을 0으로 설정한 특수한 주소이다. 가상적으로만 사용된다. IP 미설정 상태의 발신 주소이다..
- ::1/128 - 자기 자신의 주소를 가리키는 루프백 주소이다. 프로그램에서 이 주소로 패킷을 전송하면 네트워크는 전송자에게로 패킷을 반송한다. IPv4의 127.0.0.1 주소와 동일하다.
- ::/96 - IPv4 호환 주소를 위해 사용되는 주소공간이다.
- ::ffff:0:0/96 - IPv4 매핑 주소를 위해 사용되는 주소공간이다.
- fc00::/7 - IPv6 유니캐스트를 위한 주소공간이다.
- fe80::/10 - link-local address를 위한 주소공간이다. IPv4의 자동 설정 IP 주소인 169.254.x.x 에 해당한다.
- fec0::/10 - site-local address를 위한 주소공간이다. 네트워크 내부에서만 유효한 주소이며, 2004년 10월 RFC3879에서 폐기되어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 ff00::/8 - IPv6 멀티캐스트를 위한 주소공간이다. IPv4의 브로드캐스트는 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 IPv6에서는 대신 멀티캐스트를 사용해야 한다.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IPv6
IPv6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는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 중 네트워크 계층의 프로토콜로서 버전 6 인터넷 프로토콜(version 6 Internet Protocol)로 제정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을 말한다. 인터넷(Internet)은
ko.wikipedia.org
각각의 대역대는 특정 기능을 위해 존재합니다.
추가로 IPv6에 대한 실제적인 예제는 저의 다른 게시글에서 확인해볼 예정입니다. ST의 stm32wb55보드를 이용해 패킷 내용을 확인할 것입니다. 그리고 특정 기능을 위해 각각의 대역대가 쓰이는것 또한 게시할 생각입니다!
IPv4 또한 시간이 날 때 확인할 예정입니다!
'컴퓨터 공부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KEv1 Phase1 - Main mode (0) | 2023.04.30 |
---|